인도네시아는 국내외 투자자뿐만 아니라 기업을 위한 곳입니다. 인도네시아는 투자자에게 방대한 사업 기회를 제공합니다.
1위
동남아 최대 경제 규모
4위
2억 6천만명이라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국가중 한곳
안정적
S & P, Fitch 및 Moody 's의
투자등급 전망
5.1%
2017년 경제성장율 예측치 및
2018 년 5.3 % 예측
>50%
30 세미만 인구
TOP 3
G20 국가중 2015 ~ 2016 년
GDP 성장률 1.2%
출처: 세계은행 (인도네시아 국가 프로필) 및 아시아개발은행 (ADB)
인도네시아 산업 전망
제조산업 성장목표
2017년 7.4 %
2018년 8.1 %
2019년 8.6 %
인도네시아국가우선순위 산업
운송 및 자동차산업
• 자동차산업
• 열차산업
• 조선소산업
• 항공우주산업
자본재산업 및 부품산업
• 기계 및 설비산업
• 부품산업
• 보조재료산업
• 산업서비스
기초 금속 및 비금속 광물산업
• 제철 및 염기성강 제련 및 정련산업
• 비철금속 제련 및 정련산업
&bull희귀금속, 희토류 및 핵연료산업
• 비금속광물산업
산업그룹 개발포커스 2015 - 2035
・ 식품산업
・ 제약, 화장품 및 보건설비산업
・ 섬유, 가죽, 신발류 및 각종 산업
・ 정보, 전자 및 통신기술
・ 발전소산업
・ 자본재산업, 부품산업, 보조재료산업 및 산업서비스
・ 기본금속 및 비금속광물산업
・ 건축자재 및 인프라
산업별 GDP 성장
・ 2016 년 제조산업 4.29 %
・ 2016 년 건축산업, 건축자재 제조 5.22 %
・ 2016년 도매 및 소매업, 자동차 및 오토바이 수리업 3.93 %
・ 2016 년 운송 및 보관업 7.74 %
・ 2016 년 정보, 전자 및 통신기술 8.87 %
카라왕 및 자바지역 산업개발
・ 첨단기술산업
・ 노동집약산업
・ 일용소비제제조
・ 국가 자동차 산업 허브로 개발될 우선순위 지역. 인도네시아는 현재 ASEAN의 최대 자동차 시장이며두번째로 큰 자동차 제조국임
인도네시아 물류산업 청사진
2014-2015
ASEAN 국가간 인프라 개발확대로 역내 운송물류 서비스지원
2015-2020
ASEAN물류네트워크 통합
2020-2025
통합 글로벌 물류네트워크. 인도네시아는 국제 허브항만을 통해 아세안지역 (ASEAN) 및 세계 물류시스템과 연결될 예정
인도네시아 정부는 도로, 철도, 공항, 항만, 창고 및 산업물류 서비스센터를 활성화하여 주요 미래성장동력으로 인프라사업에 주력하고 있음 서부 자바지역은 베카시 -카라왕 – 쁘르와까르타 연결고리를 중심으로 인도네시아의 물류서비스 거점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기대. 2017 년 인도네시아 물류부문에 제공된 은행 총대출은 117조 루피아에 이르며, 2018년 136 조 루피아, 2019 년158 조 루피아로 증가예상.
출처: 2017 인도네시아 산업부 Industry Facts and Figures, 2017 Mandiri은행, 2018인도네시아 경제 및 금융전망
제조산업의 수도, 카라왕
카라왕은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경제지역중 하나인 두개의 주요도시자카르타 –반둥 경제 연결망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카라왕은 글로벌 제조업체들이 선호 하는지역이며, 인도네시아 국가전략기반 개발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정부의 우선순위 지역중 한 곳 입니다.